차즈 오브 더 라이트 브리게이드 (1968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즈 오브 더 라이트 브리게이드》(1968년 영화)는 1853년에서 1856년까지 벌어진 크림 전쟁과 그 시기 영국군의 실태를 다룬 영화이다. 데이비드 헤밍스, 트레버 하워드, 존 길구드 등이 출연하며, 루이스 놀란 대위, 카디건 백작, 래글런 경 등 주요 인물들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영화는 발라클라바 전투와 경 기병 여단의 돌격을 묘사하며, 당시 영국 육군 지휘부의 무능함과 전쟁의 어리석음을 비판한다. 찰스 우드의 각본은 존 오스본의 초고를 바탕으로 했으며, 리처드 윌리엄스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하여 사실적으로 묘사하려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존 오스본 각본 영화 - 톰 존스의 화려한 모험
헨리 필딩의 소설 《고아 톰 존스 이야기》를 원작으로 하는 1963년 영국 코미디 영화 《톰 존스의 화려한 모험》은 토니 리처드슨 감독이 연출하고 앨버트 피니가 주연을 맡아, 사생아로 태어났지만 매력적인 톰 존스의 파란만장한 삶과 사랑을 독특한 코믹 스타일과 연출로 그려내며 아카데미 작품상과 감독상을 수상했다. - 크림 전쟁 영화 - 차즈 오브 더 라이트 브리게이드 (1936년 영화)
1854년 크림 전쟁의 발라클라바 전투를 배경으로 한 1936년 미국 영화 《차즈 오브 더 라이트 브리게이드》는 에롤 플린 주연으로 액션과 연기는 호평을 받았으나 단순한 스토리와 동물 학대 논란으로 비판받았으며 아카데미 보조 감독상을 수상했다. - 토니 리처드슨 감독 영화 - 톰 존스의 화려한 모험
헨리 필딩의 소설 《고아 톰 존스 이야기》를 원작으로 하는 1963년 영국 코미디 영화 《톰 존스의 화려한 모험》은 토니 리처드슨 감독이 연출하고 앨버트 피니가 주연을 맡아, 사생아로 태어났지만 매력적인 톰 존스의 파란만장한 삶과 사랑을 독특한 코믹 스타일과 연출로 그려내며 아카데미 작품상과 감독상을 수상했다. - 토니 리처드슨 감독 영화 - 더 보더
1982년 개봉한 《더 보더》는 잭 니컬슨 주연의 범죄 드라마 영화로, 멕시코 국경지대에서 벌어지는 부패와 인신매매에 연루된 이민 단속 요원의 갈등을 그리고 있다.
차즈 오브 더 라이트 브리게이드 (1968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The Charge of the Light Brigade |
감독 | 토니 리처드슨 |
제작 | 니일 하틀리 |
각본 | 찰스 우드 |
주연 | 트레버 하워드 존 길구드 버네사 레드그레이브 해리 앤드루스 질 베넷 데이비드 헤밍스 앨런 도비 노먼 로싱턴 |
음악 | 존 애디슨 |
촬영 | 데이비드 왓킨 |
편집 | 케빈 브라운로 휴 러겟 |
제작사 | 우드폴 필름 프로덕션 |
배급사 | 유나이티드 아티스츠 |
개봉일 | 1968년 4월 10일 (프리미어) 1968년 4월 12일 (런던) 1968년 8월 10일 (일본) |
상영 시간 | 139분 |
제작 국가 | 영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650만 달러 |
흥행 수익 | 미국/캐나다: 100만 달러 (렌탈) 총: 320만 달러 |
스태프 | |
미술 | 테드 마셜 |
특수 효과 | 밥 맥도날드 |
2. 역사적 배경
이 영화는 크림 전쟁(1853-1856)을 배경으로, 전쟁의 비극과 당시 영국 육군 지도부의 무능 및 군대의 열악한 상황을 비판적으로 그린다. 1815년 워털루 전투 이후 오랜 평화로 인해 영국군은 경직된 관료주의와 구시대적 전술에 묶여 있었다는 역사적 맥락을 보여준다.
다만 영화는 극적 구성을 위해 실제 역사와 다른 묘사나 생략된 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놀란 대위가 '검은 병 사건'(연회에서 규정된 샴페인 대신 모젤 와인을 제공한 사건)의 중심인물로 그려지지만, 실제 관련자는 존 레놀즈 대위였다. 또한, 모든 경 기병 연대가 제11 기병 연대의 상징인 체리색 바지를 입은 것으로 묘사되었으나, 실제 각 연대의 복장은 달랐다.
발라클라바 전투 묘사에서는 제93 서덜랜드 하이랜더 연대의 방어("얇은 붉은 선")나 중 기병대의 돌격과 같은 중요한 사건들이 생략되었다. 토니 리처드슨 감독에 따르면 중 기병대 장면은 촬영 후 편집 단계에서 제외되었다.[15] 인물 묘사에서도 각색이 있는데, 패니 더벌리가 카디건 경과 불륜 관계인 것처럼 그려지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이처럼 영화는 역사적 사실에 기반하면서도 각색과 오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충동적이고 오만한 루이 놀란 대위를 긍정적으로 묘사하고 모험심 강한 패니 더벌리를 부정적으로 그린 점 등은 비판을 받기도 했다.[16]
2. 1. 크림 전쟁의 발발
이 영화는 크림 전쟁(1853-1856) 당시 영국 육군과 그 지도부의 문제점을 다루고 있다. 영국은 1815년 워털루 전투 이후 오랫동안 유럽 대륙에서 큰 전쟁을 치른 경험이 없었고, 군대는 경직된 관료주의와 구시대적인 사회적 가치에 얽매여 있었다. 특히 군의 전술과 병참 방식은 지난 40년간 거의 발전하지 못한 상태였다.영화 속에서 영국령 인도 육군 출신의 루이 놀란 대위(데이비드 헤밍스)는 비교적 유능한 장교로 그려진다. 그는 실제 전투 경험이 있으며, 당시 귀족 사회의 관행이었던 지휘권 매입이 아닌 실력으로 임관한 인물이다. 이 때문에 놀란은 부하들의 생명을 경시하는 귀족 출신 상관들을 경멸한다. 그의 상관인 카디건 경(트레버 하워드)은 연대를 사유물처럼 다루며 놀란을 못마땅하게 여긴다. 당시 영국군 병사들은 러시아군에 비해 장비는 비교적 잘 갖추었으나, 제대로 된 훈련이나 충분한 보급을 받지 못했고 열악한 환경 속에서 사소한 실수에도 가혹한 처벌을 받았다.
영국군의 총지휘관은 래글런 경(존 길구드)으로, 그는 웰링턴 공작의 참모였던 워털루 전투 참전 용사였지만 실제로는 군사적 능력이 부족한 인물로 묘사된다. 그는 전쟁 준비 과정에서부터 지휘관 임명 문제로 골머리를 앓는데, 특히 사이가 좋지 않은 처남이자 숙적인 루칸 경(해리 앤드루스) 휘하에 카디건 경을 배치하는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다.
영국은 프랑스와 동맹을 맺고 크림 반도로 군대를 파견하여 전략적 요충지인 세바스토폴을 점령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그러나 전쟁 초기부터 영국 지휘부의 무능과 내부 갈등, 그리고 병참 문제 등이 드러나며 전쟁 수행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2. 2. 당시 영국군의 상황
1815년 워털루 전투 이후 영국은 오랫동안 유럽 대륙에서 큰 전쟁을 치르지 않았다. 이 기간 동안 영국 육군은 변화에 둔감해지고 경직된 관료주의에 얽매이게 되었다. 전술과 군수 지원 체계는 40년 동안 발전하지 않았고, 군대 전체의 기풍은 시대에 뒤떨어진 사회적 가치에 묶여 있었다.영화 속 반영웅인 루이 놀란 대위(데이비드 헤밍스)는 비교적 유능한 장교이다. 영국령 인도 육군의 베테랑인 그는 전투 경험이 있고, 매관매직이 아닌 실력으로 임관했다는 점에서 당시 계급 사회에서 이례적인 인물이었다. 그는 동료 장교 대부분이 귀족 출신의 아마추어이며 부하들의 생명을 낭비하는 데 무관심하다고 여겨 그들을 경멸한다.
놀란의 상관인 카디건 경(트레버 하워드)은 거친 성격의 인물로, 자신이 지휘하는 연대를 사유 재산처럼 취급한다. 그는 놀란을 원주민 하인을 둔 "인도" 장교라며 싫어했고, 모든 손님이 샴페인을 마시도록 정해진 연회에서 놀란이 모젤 와인을 주문하자 분노하여 공개적인 불화를 일으키기도 했다.
당시 영국군 병사들은 러시아군에 비해 장비는 비교적 잘 갖추었지만, 훈련이 부족하고 물자 보급도 원활하지 않았다. 그들은 열악한 생활 환경을 견뎌야 했으며, 사소한 임무 실수에도 가혹한 처벌을 받았다.
영국군의 총지휘관은 래글런 경(존 길구드)이었다. 그는 워털루 전투 참전 용사이자 웰링턴 공작의 제자였지만, 군사적 재능은 부족하여 형편없는 지휘관임이 드러난다. 크림 전쟁 준비 과정에서 그는 지휘권 배분에 실수를 저질렀는데, 이로 인해 카디건 경은 자신의 오랜 숙적이자 처남인 루칸 경(해리 앤드루스) 휘하에서 기병 여단을 이끌게 되었다.
영국군과 동맹 프랑스군은 크림 반도에 상륙하여 전략적 요충지인 세바스토폴을 공격하기 위해 내륙으로 진격했다. 이 과정에서 영국군은 지휘관들의 무관심 속에 콜레라로 큰 피해를 입었다. 놀란 대위는 병사들이 질병으로 죽어가며 군대의 조직력이 무너지는 것을 보고 두려움을 느꼈다. 알마 전투에서 승리했음에도 불구하고, 래글런 경은 기병대의 손실을 우려하여 기병대가 승세를 활용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그 결과 러시아군은 세바스토폴로 가는 길을 강화할 시간을 벌었고, 영국군이 도시에 도착하기 전에 추가적인 전투가 불가피해졌다.
3. 주요 등장인물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의 정보가 하위 섹션 내용과 중복되거나 해당 섹션의 범위를 벗어납니다.)
3. 1. 루이 놀란 대위 (데이비드 헤밍스 분)
영화는 줄거리 전개를 위해 루이 놀란 대위가 '검은 병 사건'의 중심에 있었던 것처럼 묘사한다. 이 사건은 카디건 경이 요구한 샴페인 대신 모젤 와인이 손님에게 제공되면서 발생했다. 와인이 검은 병에 담겨 있었기 때문에, 카디건 경은 장교들이 사병들이 마시는 맥주를 마시고 있다고 오해했다. 하지만 실제 이 사건에 관련된 장교는 존 윌리엄스 레놀즈 대위였다.영화는 충동적이고 오만한 성격에도 불구하고 루이 놀란 대위를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묘사하는데, 이러한 해석은 비판을 받기도 했다.[16]
3. 2. 카디건 백작 (트레버 하워드 분)
트레버 하워드가 연기한 카디건 백작은 경 기병 여단을 지휘하는 귀족 출신 장군으로, 영화 속에서 거만하고 무능한 인물로 그려진다. 그는 자신의 권위와 체면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여기며, 부하 장교들을 마치 자신의 사병처럼 취급하는 권위적인 태도를 보인다. 특히 루이 놀란 대위를 "인도" 출신 장교라며 공공연히 멸시하고 사사건건 대립각을 세운다.영화는 카디건 백작의 이러한 성격을 보여주는 일화로 '검은 병 사건'을 각색하여 묘사한다. 손님에게 제공된 모젤 와인이 검은 병에 담겨 나오자, 카디건 백작은 이를 사병들이나 마시는 값싼 술로 오인하고 크게 분노한다. 영화에서는 이 사건의 중심에 놀란 대위가 있었던 것처럼 각색되었으나, 실제 역사에서 해당 사건과 관련된 인물은 존 레놀즈 대위였다. 이러한 각색은 카디건 백작의 편협하고 까다로운 성격을 부각하기 위한 영화적 장치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영화에서는 패니 더벌리가 카디건 백작에게 유혹당하는 것처럼 묘사되지만, 이는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 패니 더벌리가 크림 전쟁에 참전한 것은 사실이지만, 카디건 백작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었다는 기록은 없다. 이 역시 영화가 카디건 백작의 인물상을 특정 방향으로 그려내기 위해 사용한 극적 허용으로 볼 수 있다.
3. 3. 래글런 남작 (존 길구드 분)
존 길구드가 래글런 남작 역을 연기했다.3. 4. 루칸 백작 (해리 앤드루스 분)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에 대한 정보가 부족합니다.)3. 5. 클라리사 모리스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분)
놀란 대위의 친구인 윌리엄 모리스의 아내이다. 극중에서 놀란 대위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는 인물로 그려진다. 이 역할은 배우 바네사 레드그레이브가 연기했다.3. 6. 패니 두벌리 (질 베넷 분)
영화 속 패니 더벌리는 카디건 백작에게 유혹당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하지만 실제 역사에서 그녀는 크림 전쟁에 참전했을 뿐, 카디건 백작과 불륜 관계를 맺지는 않았다. 영화는 모험심 강한 패니 더벌리를 부정한 인물이나 학살을 갈망하는 인물처럼 묘사하여 비판을 받기도 했다.[16]4. 발라클라바 전투와 경 기병 여단의 돌격
크림 전쟁 중 발라클라바 전투에서 러시아군이 방비가 허술한 영국군 요새를 점령하고 대포 몇 문을 탈취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총사령관 래글런 경은 빼앗긴 대포를 되찾으라는 명령을 내렸으나, 이 명령은 매우 모호하여 현장 지휘관들의 오해를 샀다. 특히 계곡 아래에 위치하여 시야가 제한적이었던 카디건 경은 러시아 포병대가 있는 방향으로 돌격해야 한다고 잘못 판단했다.
카디건 경이 명령의 불분명함에 대해 질문하자, 지휘부의 무능함에 격분해 있던 놀란 대위는 팔로 러시아 포병대가 있는 방향을 가리키며 "저기, 경, 당신의 적이 있고, 당신의 총이 있습니다!"라고 소리쳤다. 이 말은 사실상 돌격 명령으로 받아들여졌고, 경 기병 여단은 러시아군의 강력한 포화 속으로 무모하게 돌격하기 시작했다. 친구의 허락을 받고 여단에 합류했던 놀란 대위는 곧 자신의 실수를 깨닫고 카디건 경에게 경고하려 했으나, 그 순간 날아온 파편에 맞아 전사했다.
이것이 바로 역사상 비극적인 사건으로 기록된 '경 기병 여단의 돌격'이다. 경 기병 여단은 러시아군의 집중 포화에 막대한 피해를 입고 대부분의 병력을 잃은 채 퇴각해야 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부하들을 죽음으로 이끈 카디건 경 자신은 아무런 상처 없이 살아남았고, 돌격 직후 이 재앙적인 결과의 책임을 두고 다른 장교들과 논쟁을 벌이기 시작했다.
4. 1. 전투 전 상황
영국군과 동맹국 프랑스군은 크림 반도에 상륙하여 전략적 요충지인 세바스토폴을 점령하기 위해 내륙으로 진격했다. 그러나 진격 과정에서 영국군은 콜레라 창궐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 이는 지휘관들의 무관심 속에서 더욱 악화되었다. 놀란 대위는 병사들이 질병으로 죽어가면서 군대의 조직력이 무너지는 것을 보고 두려워했다.콜레라가 어느 정도 진정된 후,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은 알마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하지만 총사령관 래글런 경은 기병대의 손실을 우려하여 예비대로 남겨두는 데 지나치게 집착했고, 이 때문에 결정적인 순간에 기병대를 투입하여 승기를 굳힐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래글런 경의 이러한 판단은 결과적으로 러시아군에게 세바스토폴로 향하는 길목을 요새화하고 방어 태세를 강화할 시간을 벌어주는 결과를 낳았다. 이로 인해 영국군이 세바스토폴에 도착하기도 전에 여러 차례의 추가적인 전투가 불가피해졌다. 한편, 영국 본국에서는 언론들이 이미 세바스토폴이 함락되었고 러시아 정부가 항복했다는 잘못된 소식을 보도하고 있었다.
전쟁이 계속되는 동안, 카디건 경은 매일 밤 전투 지역에서 벗어나 해안가에 정박해 둔 자신의 요트로 돌아가 호화로운 만찬을 즐겼다. 그는 이 자리에서 전투를 관람하기 위해 종군한 패니 두버리 부인을 유혹하기도 했다.
4. 2. 오판과 돌격 명령
놀란 대위는 래글런 경을 비롯한 지휘관들의 무능함으로 인해 불필요한 희생과 작전 지연이 반복되자 점차 분노를 느낀다. 그의 분노는 발라클라바 전투에서 극에 달하는데, 러시아군이 제대로 방어되지 않은 영국군 요새를 습격하여 대포 몇 문을 탈취해가는 사건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래글런 경의 대응이 늦어지자, 놀란 대위는 빼앗긴 대포를 되찾기 위한 즉각적인 조치를 강력히 요구한다.이에 래글런 경은 명령을 내렸으나, 이 명령은 모호했고 현장의 기병 지휘관들은 이를 잘못 이해하게 된다. 당시 영국 기병대는 두 갈래로 나뉜 계곡에 위치해 있었다. 한쪽 길에는 대포를 끌고 후퇴하는 러시아군 습격대가 있었고, 다른 쪽 길에는 강력한 러시아 포병대와 상당한 규모의 기병 예비대가 버티고 있었다. 래글런 경은 높은 곳에서 전장을 내려다보고 있었기에 지형 상황이 명확하다고 판단하여, 명령서에 어느 쪽으로 공격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계곡 아래쪽에 있던 카디건 경은 러시아 포병대가 있는 계곡만 볼 수 있었고, 당연히 그쪽으로 돌격해야 한다고 오판했다. 카디건 경이 명령의 불분명함에 대해 질문하자, 격분한 놀란 대위는 팔로 전방의 러시아 포병대를 모호하게 가리키며 "저기, 경, 당신의 적이 있고, 당신의 총이 있습니다!"라고 외쳤다. 이는 실제 역사 기록과 유사한 발언으로 알려져 있다.
이 말에 따라 경 기병 여단은 러시아군의 강력한 포화 속으로 돌격하기 시작했다. 카디건과 함께 러시아군을 추격하던 친구 모리스의 허락을 받아 경 기병 여단에 합류했던 놀란 대위는 곧 자신의 치명적인 실수를 깨달았다. 그는 카디건 경에게 경고하려 했지만, 그 순간 날아온 파편에 맞아 전사했으며, 카디건 경은 그의 경고 시도를 무시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이 바로 역사적으로 유명한 '
경 기병 여단은 러시아군의 집중 포화에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잠시 러시아군과 교전한 후 퇴각할 수밖에 없었다. 여단의 대부분이 전사하거나 부상을 당하는 참혹한 결과를 맞았다. 카디건 경 자신은 용감하게 부하들을 이끌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이러니하게 아무런 상처 없이 살아남았고, 이 재앙적인 돌격의 책임을 누구에게 물을 것인지를 두고 다른 장교들과 즉시 논쟁을 벌이기 시작했다.
4. 3. 돌격과 희생
발라클라바 전투에서 러시아 습격대가 제대로 방어되지 않은 영국 요새를 점령하고 몇 문의 대포를 빼앗아가는 사건이 발생했다. 래글런 경은 이에 늦게 대응했고, 놀란 대위는 귀중한 장비를 회수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을 강하게 요구했다.래글런 경은 잘못된 명령을 내렸고, 기병 지휘관들은 이를 오해했다. 당시 영국 기병대는 두 갈래로 나뉘는 계곡에 위치해 있었다. 한쪽에는 도망치는 러시아 습격대가 있었고, 다른 한쪽에는 러시아 포병대와 상당한 규모의 기병 예비대가 포진해 있었다. 래글런 경은 높은 지점에서 이러한 지형을 파악하고 있었으나, 명령에는 이 점을 명확히 언급하지 않았다. 반면, 더 낮은 위치에 있던 카디건 경은 포병대가 있는 계곡만 볼 수 있었고, 그쪽으로 돌격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카디건 경이 명령에 대해 질문하자, 격분한 놀란 대위는 팔로 모호하게 방향을 가리키며 "저기, 경, 당신의 적이 있고, 당신의 총이 있습니다!"라고 외쳤다. 이는 실제 역사적 발언과 유사한 내용이다.
놀란 대위는 친구인 모리스의 허락을 받아, 카디건 경과 함께 러시아군을 추격하는 경 기병 여단에 합류했다. 그러나 기병대가 러시아군의 포화 속으로 진격하자 놀란은 자신의 실수를 깨달았다. 그는 카디건 경에게 경고하려 했지만, 그 순간 파편에 맞아 전사했다. 카디건 경은 놀란의 경고를 무시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이 바로 역사적으로 유명한 '경 기병 여단의 돌격'이다.
경 기병 여단은 러시아군의 맹렬한 포격에 큰 피해를 입었고, 러시아군과 잠시 교전한 후 퇴각해야 했다. 이 돌격으로 여단 병력 대부분이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었다. 카디건 경은 용감하게 부하들을 이끌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아무런 상처 없이 살아남았다. 그는 돌격 직후, 이 재앙적인 결과의 책임을 누구에게 물을 것인지를 두고 다른 장교들과 즉시 언쟁을 시작했다.
5. 영화적 요소
(내용 없음)
5. 1. 리처드 윌리엄스의 애니메이션
영화 곳곳에는 리처드 윌리엄스가 제작한 애니메이션 시퀀스가 삽입되어 있다. 이 애니메이션들은 당시 영국의 시사만화 스타일을 본떠 제작되었으며, 영화의 주요 사건들 사이에 등장하며 행동에 대한 아이러니한 대구를 제공한다.[1] 표면적으로는 빅토리아 시대 저널리즘처럼 영국군의 위대함이나 오스만 제국을 돕는 행위의 명예를 찬양하는 듯 묘사하지만, 실제 역사적 사건인 크림 전쟁의 참상과 경 기병 여단의 돌격 같은 군사적 실패의 비극적 결과와 대비시키며 전쟁의 어리석음, 영국 사회 및 군 지도부의 무능과 허영을 효과적으로 풍자한다.[1] 이러한 애니메이션의 활용은 영화의 비판적인 시각을 더욱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영화는 경 기병 여단의 썩은 죽은 말 그림으로 끝난다.[1]5. 2. 역사적 사실과의 차이
영화는 줄거리 전개를 위해 실제 역사적 사실과 다른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주인공 루이 놀란 대위가 '검은 병 사건'의 중심에 있었던 것처럼 묘사되는데, 이는 카디건 경이 요구한 샴페인 대신 모젤 와인이 손님에게 제공되었기 때문이다. 와인이 검은 병에 담겨 제공되자 카디건 경은 장교들이 사병들이 마시는 맥주를 마시고 있다고 오해했다. 실제 이 사건과 관련된 장교는 존 레놀즈 대위였다.
- 영화에서는 모든 경 기병 연대가 체리색 바지를 입은 것으로 묘사되지만, 실제로는 제11 기병 연대만이 이 색상의 바지를 입었다. 다른 네 개 연대의 장교와 기병들은 짙은 남색 바지를 입었으며, 두 줄의 노란색 줄무늬가 있거나, 제17 란서의 경우 두 줄의 흰색 줄무늬가 있었다.
- 발라클라바 전투를 묘사하면서 요새에 대한 러시아의 초기 공격과 경 기병 여단의 돌격은 보여주지만, 제93 서덜랜드 하이랜더의 저항("얇은 붉은 선")과 중 기병대의 돌격은 생략되었다. 토니 리처드슨 감독에 따르면, 중 기병대 장면은 촬영되었으나 나중에 스튜디오의 요청으로 편집되었다.[15]
- 패니 더벌리는 카디건 경에게 유혹당하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그녀는 크림 전쟁에 참전했을 뿐 카디건 경과 불륜 관계를 맺지는 않았다.
- 영화는 충동적이고 오만한 루이 놀란 대위를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묘사하고, 모험심이 강한 패니 더벌리를 부정한 인물로, 학살을 갈망하는 인물로 묘사하여 비판을 받았다.[16]
6. 평가 및 영향
이 영화는 개봉 전 평론가들에게 미리 공개되지 않았는데, 감독 토니 리처드슨은 ''더 타임스''에 영국 평론가들을 "버릇없고 요구가 많은 아이들", "세상에서 가장 개인적이고, 가장 피상적이며, 호의가 없는 사람들"이라고 비판하는 글을 기고하기도 했다.[12] 그럼에도 영화는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흥행에는 실패했다.
영화가 제작된 시기가 베트남 전쟁에 대한 반전 여론이 높아지던 때였기 때문에, 후대에는 이 영화를 다른 나라에 대한 군사적 개입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메시지로 해석하기도 한다.[13]
일본의 영화 감독 구로사와 아키라는 이 영화를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영화 100편 중 하나로 꼽았다.[14]
또한, 1969년 제22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BAFTA)에서 다음 7개 부문 후보에 올랐으나 수상에는 이르지 못했다.
부문 | 후보자 |
---|---|
최고의 음악 앤서니 애스퀴스상 | 존 애디슨 |
남우주연상 BAFTA | 트레버 하워드 |
최고의 미술상 BAFTA | 에드워드 마셜 |
최고의 촬영상 BAFTA | 데이비드 왓킨 |
최고의 의상상 BAFTA | 데이비드 워커 |
최고의 영화 편집상 BAFTA | 케빈 브라운로우 |
최고의 음향상 BAFTA | 사이먼 케이 |
7. 출연진
(내용 없음)
7. 1. 주연
- 데이비드 헤밍스 - 루이스 놀란 대위 역
- 트레버 하워드 - 카디건 백작 역
-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 클라리사 모리스 역
- 마크 번스 - 윌리엄 모리스 대위 역
- 존 길구드 - 래글런 경 역
- 해리 앤드루스 - 루칸 경 역
- 질 베넷 - 패니 두벌리 부인 역
- 피터 볼스 - 헨리 두벌리 대위 역
- 마크 디그남 - 리처드 에어리 장군 역
- 레오 브리트 - 제임스 스칼렛 장군 역
- 하워드 매리언-크로포드 - 조지 브라운 경 역
- T. P. 맥케나 - 윌리엄 하워드 러셀 역
- 코린 레드그레이브 - 페더스톤호 역
- 앨런 도비 - 모그 역
- 벤 아리스 - 맥스 역
- 노먼 로싱턴 - 코르벳 상사 역
- 윌러비 고다드 - 스콰이어 역
- 조르주 두킹 - 자크 드 생아르노 원수 역
- 앰브로즈 코질 - 더글러스 역
- 나타샤 리처드슨 - 결혼식 꽃 파는 소녀 역 (출연 미상)
- 조엘리 리처드슨 - 엑스트라 (출연 미상)
7. 2. 조연
배우 | 배역 |
---|---|
데이비드 헤밍스 | 루이스 놀란 대위 |
트레버 하워드 | 카디건 백작 |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 클라리사 모리스 |
마크 번스 | 윌리엄 모리스 대위 |
존 길구드 | 래글런 경 |
해리 앤드루스 | 루칸 경 |
질 베넷 | 패니 두벌리 부인 |
피터 볼스 | 헨리 두벌리 대위 |
마크 디그남 | 리처드 에어리 장군 |
레오 브리트 | 제임스 스칼렛 장군 |
하워드 매리언-크로포드 | 조지 브라운 경 |
T. P. 맥케나 | 윌리엄 하워드 러셀 |
코린 레드그레이브 | 페더스톤호 |
앨런 도비 | 모그 |
벤 아리스 | 맥스 |
노먼 로싱턴 | 코르벳 상사 |
윌러비 고다드 | 스콰이어 |
조르주 두킹 | 자크 드 생아르노 원수 |
앰브로즈 코질 | 더글러스 |
나타샤 리처드슨 | 결혼식 꽃 파는 소녀 (출연 미상) |
조엘리 리처드슨 | 엑스트라 (출연 미상) |
8. 제작진
- 의상: 데이비드 워커
참조
[1]
서적
Hollywood, England
Stein and Day
1974
[2]
간행물
Big Rental Films of 1969
1970-01-07
[3]
서적
United Artists: The Company That Changed the Film Industry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87
[4]
웹사이트
Radio review: The Charge of the Light Brigade
https://www.theguard[...]
2002-06-17
[5]
서적
The Cinema of Tony Richardson: Essays and Interview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9-08-12
[6]
서적
John Osborne: A Patriot for Us
Chatto & Windus
2006
[7]
서적
The Long-Distance Runner: An Autobiography
William Morrow & Co.
1993
[8]
웹사이트
Carlton House Terrace and Carlton Gardens
http://www.british-h[...]
British History Online
2010-10-24
[9]
서적
London Film Location Guide
Batsford
[10]
웹사이트
David Watkin Cinematographer website
http://davidwatkin.c[...]
[11]
서적
The Charge of the Light Brigade
I. B. Tauris
[12]
간행물
Charge on the Light Rubbish of British Film Criticism; UA Sez: 'Ours Not to Reason-Why'
1968-04-17
[13]
서적
The Charge of the Light Brigade
I B Taurus
[14]
웹사이트
From Stanley Kubrick to Martin Scorsese: Akira Kurosawa once named his top 100 favourite films of all time
https://faroutmagazi[...]
2023-01-23
[15]
문서
Richardson, 239
[16]
서적
The Hollywood History of the World
Michael Joseph
[17]
간행물
Charge on the Light Rubbish of British Film Criticism; UA Sez: 'Ours Not to Reason-Why'
1968-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